[IT동아 이상우 기자] 을지로 SKT타워에 문을 연 ICT 체험관 티움(T.um)은 가까운 미래에 일상에서 만날 수 있는 5G 기술부터 약 30년 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을 통해 구현할 미래도시를 체험할 수 있도록 꾸민 공간이다. T.um의 T는 테크놀로지, 텔레커뮤니케이션 등을 뜻하며, um은 박물관을 말한다. 싹을 틔운다는 뜻과 중의적으로 볼 수도 있다.
지난 1부에서는 인공지능 서비스, 스마트홈, 자율주행 자동차, 가상현실 기술로 물건을 직접 구매할 수 있는 커넥티드 샵 등 오늘날부터 가까운 미래 사이에 5G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룰 수 있는 서비스를 만날 수 있는 현재관을 소개했다.
2부에서 다뤘던 미래관 도입부에서는 30년 후인 2047년, 수심 800m에 세워진 미래도시 '하이랜드'로 떠나기 위한 원정단이 되어, 시속 1,300km의 미래 교통 수단인 하이퍼루프를 타고 우주왕복선 정거장에 도착한 뒤 우주관제센터에 이르렀다. 이 과정에서도 끊김 없는 초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있는 인공지능과 통신하며 하이퍼루프와 우주왕복선을 조종한다.
우주관제센터에 도착한 원정단은 우주 환경과 지구 환경을 탐사하기 위해 파견한 드론이 보낸 영상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며 거대한 소행성 파편이 지구를 향해 날아오고 있다는 소식과 멕시코 남부 지방에서 발생한 지진 소식을 듣는다. 우선 지진으로 인해 화산 폭발 가능성이 보이는 만큼, 드론과 원격으로 연결해 HMD를 착용하고 마치 현장에서 보는 것처럼 지역을 탐사한 원정단. 위험 지역 탐사와 구조 등을 초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한 드론으로 원격에서 할 수 있었다.
이제 소행성 파편을 어떻게 처리할지 논의하기 위해 하이랜드로 출발한다. 이 때 지구에서 갑자기 발생한 허리케인으로 조난자가 발생한 소식을 듣는다.
"여기는 관제 센터. 비상 상황이다. 토네이도 발생, 생존자 구조 요청한다"
소식을 들은 원정단은 인공지능 기장과 함께 토네이도를 뚫고 비상 착륙을 시도한다. 착륙 즉시 조난자가 부착하고 있는 IoT 센서를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구조용 드론을 파견한다. 30년 전인 2017년에는 SK텔레콤이 초고속 네트워크와 드론을 이용해 영상으로 원격에서 현장 상황을 파악 가능하다는 비전을 보였는데, 2047년에는 고화질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은 물론, 구조작업까지 가능하게 됐다.
원정단이 우주왕복선 내부에서 증강현실 헤드셋을 착용하자 구조 작업 현장이 눈 앞에 펼쳐졌다. 드론은 현장의 건물 사이를 스스로 날아다니며 조난자를 찾고, 이들을 구조해 우주왕복선의 의무실로 옮긴다. 원정단은 인공지능 기장의 안내에 따라 의무실로 이동한다.
의무실에는 방금 이송한 조난자가 의료캡슐 내부에 누워있다. 의료캡슐을 덮고 있는 투명한 디스플레이에는 환자의 단층촬영 이미지와 맥박, 혈압 등의 바이탈 사인이 표시됐다. 인공지능 의사에게 환자 상태를 물으니 왼쪽 무릎에 골절상이 발생했다고 답한다.
원정단은 곧바로 의료 3D 프린터를 이용해 인공 뼈를 제작한다. 이제 환자의 무릎에 남은 뼛조각을 긁어내고 인공 뼈를 이식해야 한다. 수술은 감각통신을 이용한 감각전달장치를 통해 원정단이 직접 집도한다. 감각전달장치를 손에 쥐고 이리 저리 움직이면 화면 속에서 수술 도구가 움직이는 것이 보인다. 뼛조각을 긁어내고 인공 뼈를 붙이는 감각이 장치를 통해 손에 전달된다. 이러한 감각전달장치는 지연 없는 초고속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수술, 중장비 조종 등 정밀 작업에 쓰일 수 있다고 한다.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원정단은 수심 800m에 있는 도시로 이동하기 위해 해상에 있는 하이랜드 입구 '하이랜드 플로팅 플랫폼'에 도착한다. 하이랜드로 수직 하강 하는 동안 바닷속 풍경이 디스플레이에 나타난다. 하지만 느긋하게 바닷속을 구경할 시간이 없다. 우주관제센터에서 확인했던 거대 운석 파편에 관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하이랜드에 도착하자 마자 회의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이랜드에 도착한 원정단은 홀로그램 회의실에 들어가 각 지역 대표들과 회의를 시작한다. 홀로그램 회의실은 초고속 네트워크와 홀로그램 미디어 기술로 구현해냈다. 회의실 가운데 3D 영상으로 의장과 각 지역 연합 대표들이 참석했다. 한 연합 대표가 무기를 이용해 파편을 파괴할 수 있다고 말하지만, 우주관제센터에서 회의 중 보내온 자료에 따르면 파괴하더라도 남은 파편 조각이 지구로 계속 날아올 가능성이 높다. 이 때문에 달 기지에 있는 중력장 발생 장치를 이용해 거대 운석의 궤도를 바꾸자는 의견이다. 두 의견이 팽팽한 가운데, 투표가 시작됐다. 투표 결과가 실시간으로 집계됐고, 운석 궤도를 바꾸는 방식으로 결정됐다.
이제 원정단은 달 기지에 있는 중력장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야 한다. 지구를 지킬 시간이다.
4부에서 계속…
글 / IT동아 이상우(lswoo@itdonga.com)